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의 장기근속을 장려하기 위한 제도는 크게 두 가지로 청년 내일 채움 공제와 청년 재직자 내일 채움 공제가 있습니다.
청년 내일 채움 공제는 2년간 청년이 300만 원, 기업이 300만 원, 정부가 600만 원을 공동으로 적립해 2년 후 1200만 원의 만기 공제금과 이자를 합한 금액을 목돈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공제에 가입한 청년은 평균 청년들의 재직 기간보다 2년 이상 긴 것으로 나타나 실제로 중소기업 인력난을 해소하고 청년들의 자산 형성에 도움을 줬습니다.
그러나 만기금을 수령한 후 회사를 퇴직하는 사례도 적지 않았습니다.
기존엔 전체 중소기업 대상이었지만 2023년부터는 인력 부족 업종인 제조·건설업 또는 50인 미만의 소규모 중소기업 대상으로 한정되고 2년간 청년과 기업이 내야 할 적립금도 올해보다 100만 원씩 상향돼 부담해야 할 금액이 달라지지만 정부는 400만 원을 적립해 만기 시 청년이 받게 될 공제금 금액은 같습니다.
청년 재직자 내일 채움 공제는 2022년을 끝으로 2023년부터 청년 재직자 내일 채움 공제 플러스라는 이름으로 이어갑니다.
5년 만기 3000만원이었던 것이 3년 만기 1800만 원으로 바뀌고 올해 2749억 원이었던 예산안이 내년엔 164억 4000만 원으로 편성돼 2732억 6000만 원이 삭감됩니다.
그럼 2023년에는 청년을 위한 공제 제도가 어떻게 바뀌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목차
1. 2022년 청년내일채움공제 VS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
2. 2022년 청년재직자 내일 채움 공제 VS 2023년 청년 재직자 내일 채움 공제 플러스
3. 2023년 도입될 예정인 청년도약계좌
1. 2022년 청년내일채움공제 vs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 내일 채움 공제는 청년이 중소기업에서 장기근속할 수 있도록 청년·기업·정부가 2년 간 공동으로 적립하여 청년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청년은 초기 경력형성을 통한 미래설계 기반 마련할 수 있고 기업은 우수인재를 안정적으로 고용할 수 있도록 지원됩니다.
1. 청년에게는
㉮ 최소 2년 이상 동일 사업장에서 근무하면서 실질적 경력 형성의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 본인 납입금 대비 4배 이상을 수령하여 미래설계의 기반을 마련하실 수 있습니다.
㉰ 만기 후 중소벤처기업부의 내일 채움 공제(3년)로 재가입 또는 연장 가입 시 장기적인 목돈마련이 가능합니다.
2. 기업에게는
㉮ 잦은 이직으로 인해 인력난이 심한 중소기업은 우수인력을 고용 유지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3. 2022년 vs 2023년 공제 비교
구분 | 2022년 | 2023년 |
가입대상 | 1. 만 15세 이상~ 34세이하 군필자의 경우 복무기간에 비례하여 참여제한 연령을 연동하여 적용하되 최고 만 39세로 한정 2. 학력 제한은 없으나, 정규직 취업일 현재 고등학교 또는 대학 재학·휴학 중인 자는 제외(졸업예정자 가능) 3. 월 급여 총액이 300만원 이하인 청년 |
|
고용보험 | 1. 고용보험 이력 : 정규직 취업일 현재 고용보험 가입이력이 없거나 최종학교 졸업 후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 ⓐ 3개월 이하 단기 가입 이력은 총 가입기간에서 제외 ⓑ 방송·통신·방송통신·사이버(원격대학), 학점은행제, 야간대학, 대학원은 제외 |
|
가입시기 | 정규직 채용일로부터 6개월 이내 | |
지원기업 | 고용보험 피 보험자가 5인 이상인 중소기업 |
50인미만 제조·건설업 중소기업 |
소득요건 | 연 소득 3,600만원 이하 | |
가입기간 | 2년 | |
납부금액 | 청년 300만원 기업 300만원 정부 600만원 |
청년 400만원 기업 400만원 정부 400만원 |
보상금액 | 1,200만원 + 이자 |
2. 2022년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vs 2023년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청년재직자 내일 채움 공제는 정부, 중소(중견) 기업 사업주, 청년근로자(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정규직 근로자)가 공동으로 적립한 공제금을 가입기간에 따라 장기 재직한 청년근로자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급하는 공제입니다.
·
1. 2022년 vs 2023년 비교
구분 |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
사업기간 | 2022년 | 2023년 |
가입대상 | 만 15세~ 34세 이하 | 만 15세~ 34세 이하 (신규 가입자 1만명 제한) |
가입시기 |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정규직 근로자 | |
소득요건 | 없음 | 연소득 3,600만원 이하 |
지원기업 | 중소·중견기업(유흥업종 제외) | 50인 미만 제조·건설업 중소기업 |
가입기간 | 5년 | 3년 |
납부금액 | 청년 720만원 기업 1200만원 정부 1080만원 |
청년 600만원 기업 600만원 정부 600만원 |
보상금액 | 3000만원 + 이자 | 1800만원 + 이자 |
3. 2023년 도일될 예정인 청년도약계좌
청년 도약 계좌는 내년 6월 말 출시됩니다. 내년 예산은 3527억 원으로 편성되며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면서 연 소득6000만 원 이하인 청년이 대상입니다. 매달 청년이 70만 원씩 5년간 납부하고 여기에 정부 보조금과 은행 이자를 더해 5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1. 청년도약계좌 조건
구분 | 청년도약계좌 |
시기 | 2023년 6월 중 출시 예정 |
가입대상 | 만 19세~ 34세 미만 |
소득 요건 | 1. 개인 소득 6000만원 이하 2.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 |
투자형태 | 적금형, 투자형 중 선택 |
기간 | 5년 만기 |
납입금액 | 매월 40~70만원 |
정부지원금 | 매월 3~6% |
문의처 청년내일채움 1350